728x90
1 ) 자료구조 분류
- 단순 구조(Simple)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기본 데이터 타입, int(정수), float(실수형), double(실수), char(문자)
- 선형 구조(Liner) : 데이터들 사이의 선후 관계가 1:1 구조
종류
Stack, Queue, Deque, 선형 리스트(Linear List), Linked List※
- 비선형 구조: 데이터 사이의 선후관계가 계층 또는 그물 형태를 가지는 구조
종류
트리(Tree) 구조, 그래프
2 ) Stack (스택)
- 후입 선출(LIFO) 구조
- 함수를 호출하여 복귀할 때, 깊이 우선 탐색(DFS), 재귀적(Recursion) 함수, 인터럽트 수행 시, 0-주소 명령어 방법 등에서 이용
3 ) Queue (큐)
- 선입선출(FIFO) 구조
- 프린터 스풀이나 입출력 버퍼 등에서 이용
4 ) Deque (데크)
- 양쪽 모두에서 입력과 출력
- 스크롤 : 출력은 양쪽에 모두 가능하지만, 입력은 한쪽에서만 사용하는 방법
- 셀프 : 입력은 양쪽에서 모두 가능하지만, 출력은 한쪽에서만 사용하는 방법
5 ) Linear List (선형 리스트)
- 배열과 같이 연속되는 기억 공간에 저장되는 리스트 구조
- 액세스 시간이 짧고 구조가 간단
- 중간에 삽입/삭제하기 어려움
6 ) Linked List (연결 리스트)
- 각 자료의 포인터를 이용하여 연결한 구조
-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용이
- 기억 공간이 연속적이지 않아도 자료를 저장
- 포인터 기억 공간이 추가적으로 필요
- 포인터를 찾는 시간 때문에 선형 리스트에 비해 느림
7 ) Tree (트리)
그래프의 특수한 형태로 Node와 Branch으로 구성, 노드(정점) 사이에 사이클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계층 구조형식
8 ) Graph (그래프)
- 데이터의 검색, 데이터의 복잡도, 전자회로 분석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9 ) 이진트리 순회
1. 중위 순회 방법
H-D-I-B-E-A-F-C-J-G-K
2. 전위 순회 방법
A-B-D-H-I-E-C-F-G-J-K
3. 후위 순회 방법
H-I-D-E-B-F-J-K-G-C-A
10 ) 폴리쉬 표기법
이해가 안 간다 ㅠㅠ
728x90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기 스터디 2주차 (0) | 2022.02.06 |
---|---|
정처기#11 검색 (0) | 2022.02.04 |
정처기 스터디 1주차 (0) | 2022.01.30 |
정처기 #8,9 화면,애플리케이션 설계 (0) | 2022.01.26 |
정처기 #7 요구사항 정의 (0) | 2022.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