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책 정리4

코어 자바스크립트 1장 데이터 타입(06,07) 이 글은 전적으로 코어 자바스크립트를 읽고 나름대로 요약한 글이다. undefined와 null 자바스크립트에는 '없음'을 나타내는 값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undefined와 null입니다. 두 값의 의미는 같지만, 미세하게 다르고, 사용하는 목적 또한 다릅니다. undefined는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지만 값이 존재하지 않을 때 JS 엔진이 자동으로 부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용자가 undefined를 지정하는 경우는 달리 덧붙일 내용이 없어 넘어가고, JS엔진이 자동으로 부여하는 경우에 대해 살펴봅시다. JS엔진은 사용자가 응당 어떤 값을 지정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상황임에도 실제로는 그렇게 하지 않았을 때 undefined를 반환합니다. 다음 세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1... 2022. 6. 20.
코어 자바스크립트 1장 데이터 타입(05 불변객체) 이 글은 전적으로 코어 자바스크립트를 읽고 나름대로 요약한 글이다. 05 불변 객체 불변 객체를 만드는 간단한 방법 불변 객체(immutable object)는 최근의 React, Vue.js 등의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에서 뿐만 아니라 함수형 프로그래밍, 디자인 패턴 등에서도 매우 중요한 기초가 되는 개념입니다. 참조형 데이터의 '가변'은 데이터 자체가 아니 내부의 프로퍼티를 변경할 때만 성립합니다. 데이터 자체를 변경하고자 하면(새로운 데이터를 할당하고자 하면) 기본형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기존 데이터는 변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내부 프로퍼티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매번 새로운 객체를 만들어 재할당하기로 규칙을 정하거나 자동으로 새로운 객체를 만드는 도구를 활용한다면 객체 역시 불변성을 확보할 .. 2022. 6. 13.
코어 자바스크립트 1장 데이터 타입(04) 이 글은 전적으로 코어 자바스크립트를 읽고 나름대로 요약한 글이다. 04 기본형 데이터와 참조형 데이터 불변 값 변수(variable)와 상수(constant)를 구분하는 성질을 '변경 가능성'입니다. 바꿀 수 있으면 변수, 바꿀 수 없으면 상수입니다. 변수와 상수를 구분 짓는 변경 가능성의 대상은 변수 영역 메모리입니다. 한 번 데이터 할당이 이뤄진 변수 공간에 다른 데이터를 재할당할 수 있는 여부가 관건입니다. 기본형 데이터인 숫자, 문자열 boolean, null, undefined, Symbol은 모두 불변 값입니다. 그중 숫자와 문자열을 예로 들어 불변성의 개념을 알아봅시다. var a ='abc'; a = a + 'def'; var b = 5; var c = 5; b = 7; 변수 a에 문자열.. 2022. 6. 12.
코어 자바스크립트 1장 데이터 타입(01,02,03) 어렵게 1 회독을 마친 후 생각이 들었다. 블로그에 따로 정리하지 않으면 머릿속에 저장은 물론 시간이 지나면 스르륵 사라지겠구나 ㅋㅋㅋㅋ 생각이 들어 바로 요약 or 정리 들어간다. 이 글은 전적으로 코어 자바스크립트를 읽고 나름대로 요약한 글이다. 1장은 데이터에 관한 장으로, 자바스크립트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기본형 타입과 참조형 타입이 서로 다르게 동작하는 이유를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게 되는 게 목표다. 01 데이터 타입의 종류 JS는 기본형(primitive type)과 참조형(reference type)이 존재한다. ES6에서 기본형은 Symbol이 추가되었고, 참조형은 Map, WeakMap, Set, WeakSet 등이 추가되었다. 일반적으로 기본형은 할당이나 연산 시 .. 2022. 6. 10.
반응형